무선 원격스위치란?
무선 원격스위치는 제어를 하는 사용자 위치까지 배선을 연결하지 않고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전기 기기의 접점을 제어하는 장치로 RF(라디오 주파수), Wi-Fi. Bluetooth등의 무선 또는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스위치입니다.
1. 무선 원격스위치 구성 요소
오늘 소개드리는 장비는 주로 전동스크린도어(전동유리문), 스피드도어 또는 EM락과 같은 출입통제장치에 사용하는 장비로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송신기(스위치) : 사용자가 조작하는 리모컨 또는 벽부 스위치
- 수신기(리시버) : 출입통제장치와 같은 기기와 연결되며 스위치 신호를 받는 장비
- 접점신호를 받는 기기 : NO 또는 NC접점을 지원하는 기기
- CCTV 또는 비디오폰장비
2. 출입통제장치 적용
출입통제장치인 EM락, 데드볼트, 스피드도어, 전동스크린도어 등은 NO/NC접접 또는 퇴실버튼용 접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무선 원격스위치의 NO 또는 NC접점을 연계시킨다면 사용자 입장에서 출입통제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이동하지 않고 제어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CCTV나 비디오폰과 같은 장비를 이용한다면 더 좋은 방법이 됩니다.
3. 설치방법
- 설치 전 반드시 전원을 차단하여 합선등의 문제를 방지합니다.
- 제어할 출입통제장치와 수신기를 연결합니다.
- 송신기와 수신기를 메뉴얼에 따라 페어링합니다.
- 스위치의 추가작동방식을 검토하여 적용합니다.
- 테스트 및 마감
4. 무선 원격스위치의 장점과 단점
장점 | 단점 |
배선공사 불필요 | 배터리 관리 필요 |
이동시에도 작동 가능 | 무선 간섭 발생 가능 |
다양한 기기 제어 가능 | ON/OFF이외의 기능 추가시 높은 가격 |
마무리
무선 원격스위치는 편리함과 관리 효율성을 제공하는 솔루션으로 배선 걱정 없이 설치가 가능하지만 출입통제장치에 연동하기 위해서는 관련 장비의 메뉴얼 또는 접점관련 기술자료를 우선적으로 파악하고 접근해야 합니다.
퇴실버튼과 같은 장비라면 오픈을 위한 접점만 연동하면 되지겠지만 전원을 제어해야 하는 경우라면 더욱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므로 설치 전 충분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아래 영상은 이번 글과 관련한 가장 쉬운 사용법에 대한 영상입니다.